M87 블랙홀 그림자와 제트 '최초 동시 포착' M87 블랙홀 그림자와 제트 '최초 동시 포착'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진이 M87 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의 그림자와 강력한 제트를 최초로 동시에 포착했습니다. 더불어 사상 최초로 M87 블랙홀의 부착원반... 이웃집과학자 2023.04.27 00:43 아름다운 천체사진 아름다운 천체사진 한국천문연구원, 제31회 천체사진공모전의 결과를 발표.이번 공모전에서는 총 294개 작품이 출품됐습니다. 이시우 씨의 ‘해파리 성운’이 대상을 차지했는데요. 아래 사진입니다.천체사... 이웃집과학자 2023.04.24 22:30
무선으로 심혈관 모니터링 실시간 가능 무선으로 심혈관 모니터링 실시간 가능 함예솔 2023.04.24 22:13 기계학습로 소행성 구성 성분 알아낸다 기계학습로 소행성 구성 성분 알아낸다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 문홍규 박사와 연세대학교 손영종 교수 공동연구팀은 천문연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관측자료와 자체 개발한 기계학습법을 통해 4,528개 소행... 이웃집과학자 2023.03.31 15:32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이미지 검색, 데이터베이스, 추천 시스템, 광고 등의 서비스들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알리바바 등의 글로벌 IT 기업들에서 활발히 제공되고 있죠. 하지만 실... 이웃집편집장 2023.05.29 23:02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함예솔 2023.05.29 22:47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2호가 지난 5월 25일 18시 24분에 발사된 누리호에서 안전하게 분리되어 목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습니다. 그리고, 5월 2... 이웃집과학자 2023.05.29 22:02 세포 파우더 고기 기반 고단백 식품 개발 세포 파우더 고기 기반 고단백 식품 개발 연세대학교 홍진기 교수(화공생명공학과) 연구팀은 파우더 형태의 새로운 배양육인 고단백 세포 파우더 고기(cell powder meat)를 개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 이웃집편집장 2023.04.24 22:24
폐암 전이를 유발하는 새로운 기전 발견 폐암 전이를 유발하는 새로운 기전 발견 국내 연구진이 폐암 전이가 일어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발견했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명연)은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조현수 박사 연구팀이 폐암에서 과발현된 단백질 SMYD2(... 함예솔 2023.06.01 01:05 소액결제현금화, 신용카드 소액결제현금화, 신용카드 휴대폰소액결제현금화 공식업체 참조은티켓 (참조은티켓.com) 카톡(TK567) 문의:(010-2914-9801) 요즘 같이 경제적으로 어려울때 무직자가 되는 경우와 자영업자 중 폐... 홍보팀 2023.06.01 01:00
미세플라스틱, 작을수록 심장에 더 큰 위협 미세플라스틱, 작을수록 심장에 더 큰 위협 이웃집편집장 2023.06.01 00:55 암세포로 만든 '백신' 개발 가능성 열려 암세포로 만든 '백신' 개발 가능성 열려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원재료로 하는 획기적인 암 치료 백신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진준오 교수(울산대학교) 연구팀이 암세포에서 획득한 표면 단백질을 항원으로 ... 이웃집과학자 2023.06.01 00:20 북극바다에서 녹색이 지워지나? 북극바다에서 녹색이 지워지나? 극지연구소는 북극해 식물플랑크톤이 IPCC의 예상치보다 최대 3배 감소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포항공과대학교 노경민 박사과정 학생과 국종성 교수 연구팀, 극지연구소 양... 이웃집과학자 2023.06.01 00:05 양자컴퓨팅 시대에 쓰여질 광스위치 양자 메모리 원천기술 개발 양자컴퓨팅 시대에 쓰여질 광스위치 양자 메모리 원천기술 개발 이웃집편집장 2023.06.01 00:00 양자컴퓨팅이 방사선 치료 효율성 향상 시킬까? 양자컴퓨팅이 방사선 치료 효율성 향상 시킬까? 연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교실 이익재·김진성 교수,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김휘영 교수, 양자정보기술연구원 문경순 원장, IT융합공학과 김시호 교수팀은 한국연구재단의 ‘양자컴퓨팅 기반 ... 보도자료 2023.05.31 23:02 우수한 항암효과를 가진 새로운 자연살해(Natural Killer) 세포치료제 개발 우수한 항암효과를 가진 새로운 자연살해(Natural Killer) 세포치료제 개발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석 교수팀이 ㈜씨티셀즈와 공동연구를 통해 자가 활성이 가능한 자연살해(Natural Killer, 이하 ‘NK’) 세포치료제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 함예솔 2023.05.31 22:55 태백산광화대를 핵심광물 전략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태백산광화대를 핵심광물 전략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보도자료 2023.05.31 22:40 현존하는 기술 중 가장 깊고 정확하게 볼 수 있는 3D 현미경 현존하는 기술 중 가장 깊고 정확하게 볼 수 있는 3D 현미경 생체 내부를 가장 깊고 정확하게 볼 수 있는 새로운 3D 현미경이 나왔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단장 조민행) 최원식 부연구단장(고려대 물리학과... 이웃집과학자 2023.05.31 22:20 실내 조명으로 태양광 발전 가능해? 실내 조명으로 태양광 발전 가능해? 국내 연구진이 실내조명 환경에서 태양광 발전 효율을 세계 최고 기록인 36% 이상 달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심재원 교수 연구팀과 이화여자대... 이웃집편집장 2023.05.31 20:40 그린수소 저가 생산 실마리 풀리나 그린수소 저가 생산 실마리 풀리나 이웃집과학자 2023.05.30 22:47 암 발생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서 발견했다 암 발생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서 발견했다 UNIST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팀이 최근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해 암 발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습니다.정상적인 세포는 영양분 부족... 함예솔 2023.05.30 22:24 ‘공유지 비즈니스 모델’, 환경 및 경제위기 해결 할 수 있나? ‘공유지 비즈니스 모델’, 환경 및 경제위기 해결 할 수 있나? DGIST 전자정보시스템연구부 윤진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탈리아 패더리코 투 대학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공유지 비즈니스 모델의 진화’연구를 국제 저널에 게재했습니다. ‘공유지... 이웃집편집장 2023.05.30 22:20
O P I N I O N 소액결제현금화, 신용카드 소액결제현금화, 신용카드 태백산광화대를 핵심광물 전략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태백산광화대를 핵심광물 전략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해보니...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해보니...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많이 본 뉴스 수천억짜리 누리호를 계속 발사하는 이유는 뭘까? 1 수천억짜리 누리호를 계속 발사하는 이유는 뭘까?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2 KAIST, 차세대소형위성2호 초기 교신 성공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3 미세플라스틱,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장애 유발 지금까지 모두 틀렸다. 새로 밝혀진 비행기 양력 이론 4 지금까지 모두 틀렸다. 새로 밝혀진 비행기 양력 이론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5 과학 유튜버 지식인미나니, 24일 누리호3차 발사 전국 생중계.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 6 KAIST, 111배 빠른 검색엔진용 CXL 3.0 기반 AI 반도체 개발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7 슈퍼컴퓨터 Top500, 한국 슈퍼컴퓨터 성능기준 세계 8위 유지 그린수소 저가 생산 실마리 풀리나 8 그린수소 저가 생산 실마리 풀리나 다시 시작된 논란..식물들끼리 전화를 한다? 바이오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장으로 가보자. 9 다시 시작된 논란..식물들끼리 전화를 한다? 바이오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장으로 가보자.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해보니... 10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