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속 '케미 공포' 여러분 생각은요?
미디어 속 '케미 공포' 여러분 생각은요?
  • 이승아
  • 승인 2017.06.14 17:36
  • 조회수 427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는 다 위험하다더라...

 

과학 저널 <셀>에 새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미디어에 보고되는 내용을 살펴보면 ‘모든 것이 암을 촉진한다’고 말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어느 정도 흥미가 가는 내용인데요. 이 연구가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일까요?

 

이 연구는 캠브릿지 대학의 연구진이 진행했습니다. 알데하이드라는 화학물질이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는데요. 

 

출판사 일진사에서 펴낸 화학용어사전에 따르면 알데하이드는 탄화수소, 즉 탄소와 수소가 빠짐없이 연결된 상태 사슬의 말단에서 수소 2개가 사라지고, 대신 산소 원자 하나가 2중으로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을 칭합니다. 

탄소 하나에 수소 2개, 산소 하나를 가진 이 물질은 포름 '알데하이드' 입니다. 출처 :포토리아
탄소 하나에 수소 2개, 산소 하나를 가진 이 물질은 포름 '알데하이드' 입니다. 출처 :포토리아

알데하이드는 향수에 많이 포함돼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배기관, 샴푸, 담배, 건설자재 등 곳곳에 알데하이드가 함유돼 있죠.

걱정마세요. 샴푸는 당신의 적이 아닙니다. 출처 : Lenapi/Shutterstock
걱정마세요. 샴푸는 당신의 적이 아닙니다. 출처 : Lenapi/Shutterstock

그런데 특정 알데하이드는 세포복구체계를 방해하는 역할도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연구진은 알데하이드가 암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수량화 했습니다. 연구진은 알데하이드 중에서도 포름알데하이드와 아세트알데하이드에 중점을 뒀습니다.

 

연구진은 다양한 여성의 암세포를 이용해 두 화학물에 배양시켜 화학물 배양 전 후의 DNA를 비교했습니다. 연구진이 사용한 유전자 중 하나는 BRCA2였는데요. 이전의 다른 연구들이 “이 유전자에 방해나 간섭이 생기면 독성 화학물에 더 민감해지고 염색체 구조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연구 결과 실제로 포름알데하이드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BRCA2 유전자를 ‘고장’냈습니다. 한 사람이 BRCA2를 여러 개 가지고 있는게 아닌 이상, 이 유전자가 고장나면 세포복구체계가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될 겁니다. 미디어는 일반적으로 “알데하이드가 포함된 제품이 발암률을 높인다”고 보도하죠.

 

미디어가 놓친 부분

 

그러나 여기서 놓친 부분이 있는데요. 먼저, 알데하이드가 들어간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증가하는 발암률은 아주 극소량입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점은 인간이 만들어낸 제품에 존재하는 것보다 자연적인 환경에서 노출되는 알데하이드가 훨씬 많다는 것이죠. 대부분의 알데하이드는 인공제품이 아닌 환경 속에 존재합니다.

 

비판도 받는 이 연구

암은 보기보다 더 복잡합니다. 출처 : CIPhotos/Shutterstock
암은 보기보다 더 복잡합니다. 출처 : CIPhotos/Shutterstock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알데하이드 독성 노출량을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건강에 해가 가지 않는 만큼의 알데하이드 노출량이 얼마나 되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암은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데 말이죠.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캠브리지 대학의 암역학 학자 Paul Pharoah 교수는 “이 연구가 나쁘다는 건 아니지만 잘못된 부분이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그는 “이 연구는 알데하이드의 위험성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다”며 “연구진은 알데하이드가 얼마나 암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생물학적 가설을 세운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