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의 서커스' 공연 볼 때 뇌 반응은?
'태양의 서커스' 공연 볼 때 뇌 반응은?
  • 함예솔
  • 승인 2018.11.18 20:35
  • 조회수 667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의 서커스 공연모습. 출처: 유튜브/The Late Late Show with James Corden
태양의 서커스 공연 모습. 출처: 유튜브/The Late Late Show with James Corden

11월부터 두 달 동안 태양의 서커스(Cirque du Soleil) <쿠자(KOOZA)>의 내한 공연이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진행되고 있는데요. 태양의 서커스는 그 명성에 걸맞게 지금까지 6개 대륙 60개국 450여 개의 도시에서 약 1억 9천만 명 이상의 관객들을 모았다고 합니다.

 

이거 본적 있지 않나요? 출처: Wikimedia Commons
이거 본적 있지 않나요? 출처: Wikimedia Commons

태양의 서커스에 대해 잘 모르셔도 이 문양의 텐트는 어디선가 한 번쯤 보신 듯하지 않으신가요? 

 

 

잠시, 태양의 서커스 공연을 감상해 보시죠.

 

태양의 서커스 공연은 중력을 거스르는 듯한 곡예로 사람들에게 경외감을 불러 일으킵니다. 그런데 문득 궁금해집니다. 이렇게 경외감이 드는 공연을 볼 때 우리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이를 연구한 과학자가 있습니다. 인간의 인지(human perception)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신경과학자 Beau Lotto는 태양의 서커스 공연을 보는 청중을 대상으로 그들의 두뇌 활동을 조사했다고 합니다. 

 

우리랑 같이했지롱.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우리랑 같이했지롱.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Beau Lotto 연구팀은 최근 태양의 서커스 극단과 협력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태양의 서커스 공연을 관람하는 동안 그들의 뇌파를 추적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의 뇌파에서 경외감을 나타내는 지표를 찾으려고 했습니다.  

 

신경과학자 Beau Lotto.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접니다 로또. 제가 연구했다니까요.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이 연구는 아직 피어리뷰(Peer reviewed)를 거치진 않았지만, 피실험자의 뇌파에서 분명히 경외감을 나타내는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시사했습니다. Beau Lotto에 따르면, 뇌에서 경외감을 일으키는 뇌파가 감지된 건 태양의 서커스 공연에서 경외감을 일으켰던 23번의 순간과 일치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측정했어요.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이렇게 측정했어요.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연구팀은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태양의 서커스 공연에서 머리 덮개형 모양에 젤로 코팅된 센서의 장치를 이용해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신호를 모니터링 했습니다. 이 기계를 착용한 청중은 60명이었습니다.

 

연구진은 피실험자들이 공연에서 곡예사들이 공중제비를 하거나, 덤블링,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장면을 볼 때 신호가 어떻게 바뀌는지 관찰했습니다. 

 

어떻게 바꼈을까요? 출처: fotolia
어떻게 바꼈을까요? 출처: fotolia

EEG는 기능적 자기공명장치(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과 달리, 특정뇌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뉴런을 이미지화시켜 뇌 활동의 일반적인 개요를 제시합니다. 참고로 fMRI는 정서적인 반응과 관련된 뇌 영역을 타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fMRI를 사용해 특정 감정과 관련된 뇌 영역이 어디인지 실시간으로 파악 가능합니다.


Lotto는 공포, 기쁨, 슬픔 같은 감정들은 설명하기 쉽다고 합니다. 하지만 경외심은 사람들이 말로 표현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경외심의 정의는 '공경하면서도 두려운 마음을 가진다'인데요. 이렇게 경외심은 호기심, 놀라움, 타인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습니다.

 

와우..신기해. 출처: 출처: 유튜브/The Late Late Show with James Corden
경이롭네요. 출처: 유튜브/The Late Late Show with James Corden

태양의 서커스 공연을 본 후 발생한 경외심에 대해 밝혀내기 위해서는 EEG와 추가적인 데이터를 이용해 더 구체화시켜야 했습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뇌파 판독 이외에도, 뇌파측정 장치를 쓴 관객을 포함한 280명의 관객들을 대상으로 경외심에 관한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이는 관객들을 대상으로 공연 전, 공연 중, 공연 후의 심리실험과 인지실험을 통해 얻어낸 데이터였습니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사용해 데이터를 검토하고 피실험자의 뇌파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놀라운 사실을 발견해냅니다. AI가 EEG 판독 결과와 피실험자들이 경외감을 느꼈다고 자기보고(self-reporting)한 지점이 일치하는 패턴을 한 겁니다. AI가 반복적으로 확인한 결과, AI는 뇌파의 잡음 속에서 경외감 신호를 발견하는 법을 배우게 됐습니다.  

 

신경과학자 Beau Lotto.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접니다 로또. 제가 연구했다니까요. 출처: 유튜브/Cirque du Soleil

Lotto는 "신경과학자들이 경외심에 대해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며 "왜냐하면 경외심은 다른 어떤 감정보다도 인간 진화를 이끄는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새로운 경험을 배우고 적응하는 것은 진화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는 곧 불확실성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경외심을 통해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는 법을 배워 우리가 모르는 불확실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하는군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