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움직임이 가장 빠른 동물
세상에서 움직임이 가장 빠른 동물
  • 이상진
  • 승인 2018.12.17 10:00
  • 조회수 388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움직임을 보유한 '개미'. 출처:fotolia
지구상에서 가장 빨리 움직이는 '개미'. 출처: fotolia

과학자들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동물의 움직임' 경쟁에서 신기록을 달성한 생물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손톱보다도 작은 생물인 개미가 그 주인공입니다. 개미 가운데서도 '드라큘라 개미' 속인 'Mystrium'이 왕좌를 차지했는데요. 'Mystrium'는 절지동물 중 곤충류에 속합니다.

 

바로 접니다.
바로 접니다. 출처: 유튜브/Ant Lab

스미소니언 소속 과학자들은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해 드라큘라 개미의 턱 움직임을 관찰했습니다. 관찰 결과, 한 번 턱을 다물어 닫는 속도는 세계 기록을 경신할 만큼 빠르지 않았어요. 그런데 지속적으로 관찰하자, 드라큘라 개미의 턱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한 번 더 움직였는데요. 이때의 속도가 초속 90m를 기록했습니다. 세상에서 움직임이 가장 빠른 동물로 기록됐습니다. 이 속도는 눈을 깜빡이는 속도보다 5천배 이상 빠르고, 손가락을 움직이는 속도를 1천배 이상 앞선다고 해요. 


 

 

동물계에서는 먹이를 잡으며 포식자를 피할 때 속도가 매우 중요한데요. 오늘날 알려진 가장 빠른 움직임은 사냥과 방어를 기반으로 한 움직임입니다. 이런 빠른 움직임은 절지동물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데요. 지난 2008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동물로 등극했던 파나마산 흰개미와 덫개미 등도 모두 절지동물의 곤충류에 속하는 개미들이었습니다. 파나마산 흰개미의 턱 움직임은 초속 70m, 덫개미는 최대 초속 60m 정도를 기록했습니다.


이들 절지동물들은 에너지를 근육에 저장했다가,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을 눌렀다가 떼는 것처럼 폭발시키듯 내보내는데요. 이를 통해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으면서 상위 포식자로부터 효율적으로 자신을 보호한다고 합니다.
 

빠른 턱의 움직임은 절지동물의 특징입니다. 출처:pixabay
빠른 턱의 움직임은 절지동물의 특징. 출처: pixabay

하지만 과학자들은 'Mystrium'이 절지동물 중에서도 가장 신비로운 종이라고 꼽습니다. 왜 'Mystrium'이 이렇게 특수한 턱을 발달시켰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밝혀진 바가 없다고 해요. 'Mystrium'의 경우 다른 개미들과 달리 하악이 닫힌 상태에서 마주보다가 근육에 저장된 에너지가 폭발하면 서로 엇갈리면서 움직이게 됩니다. 하악골 자체에 이런 매커니즘이 내장돼 있는 것이죠.

 

과학자들은 'Mystrium'의 이러한 하악골이 동남아시아와 호주의 열대 지방의 환경 때문에 형성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열대 우림의 키 큰 통나무 지대에서 움직이고 생활 터전을 만들기 위해서 턱이 발달했다는 것인데요. 스미소니언의 과학자들은 "'Mystrium'에 대해 확실한 것은 아직 아무 것도 없고, 이것 또한 추측에 지나지 않는다"며 "'Mystrium'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참고자료##

 

Fredrick J. Larabee , Adrian A. Smith  and Andrew V. Suarez, Snap-jaw morphology is specialized for high-speed power amplification in the Dracula ant, Mystrium camillae, 2018.

Ant Lab, The Fastest Animal on Earth: the Snap-Jaw Ant, YouTube, 201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