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OST, "독도·울릉도 해역도 적조 영향권"
KIOST, "독도·울릉도 해역도 적조 영향권"
  • 함예솔
  • 승인 2019.01.02 06:15
  • 조회수 226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조현상이란?

 

바다의 적조현상. 출처: Wikimedia Commons
바다의 적조 현상. 출처: Wikimedia Commons
  • 특정한 조류의 폭발적인 증식으로 인해 해수가 붉은 빛을 띠는 현상입니다.
  • 수온 상승이나 대량의 담수유입으로 인한 영양염류의 급증, 해수의 혼합이 잘 일어나지 않을 경우 발생 합니다.
  • 적조로 인한 바닷물의 색은 보통 붉은 색이지만, 플랑크톤의 종류에 따라서 황갈색ㆍ황록색을 띠는 경우도 있습니다
  • 적조가 발생하면 해수의 용존산소량이 부족해져 어패류가 폐사합니다.

 

뭘 발견했는데?

 

(위)기존 OC3 표준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간별 GOCI 엽록소a 농도 이미지(a-f). (아래)새로 개발된 RBR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간별 GOCI 엽록소a 농도 이미지(g-i). 참고로 빨간색으로 표시된 지역이 적조 확산 지역이다. 출처: KIOST
(위)기존 OC3 표준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간별 GOCI 엽록소a 농도 이미지(a-f). (아래)새로 개발된 RBR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간별 GOCI 엽록소a 농도 이미지(g-i). 참고로 빨간색으로 표시된 지역이 적조 확산 지역이다. 출처: KIOST
  •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노재훈 박사 연구팀은 동해 남부에서 발생하는 코클로디니움(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동해남부 연안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해류의 이동 방향에 따라 울릉도 북방 39°N 수역까지도 적조 경보 수준의 세포 밀도를 보이며 확장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 참고로, 적조경보 발령 기준은 해수 1 밀리리터에 코클로디니움 1000 cell 이상 발생 시 발령(코클로디니움 1000 cell/㎖은 엽록소 a 30㎍/L 농도 수준)이라고 합니다. 
  • 이는 적조 확산 시 울릉도와 독도 수역까지도 적조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어떻게 조사했지?

 

RB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구한 시간별 적조경보 발령 수역의 GOCI 이미지. 출처: KIOST
RBR 알고리즘을 적용해 구한 시간별 적조경보 발령 수역의 GOCI 이미지. 출처: KIOST
  • 연구팀은 2013년 8월 적조 발생 시 동해의 광역조사를 통해 현장 자료를 얻었으며, 이를 천리안 해양관리위성(GOCI)으로 획득한 위성 자료에 접목해 동해 적조 경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 적조 경보 발령에 필요한 엽록소 a의 농도를 현장 관측을 통해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성 분석 알고리즘을 개선함으로써 적조 경보가 필요한 해수 분포 및 변화 상황에 대한 동해 분지 규모의 광역 해양 감시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특이한 점은?

 

식물플랑크톤의 조사 해역. 출처: KIOST
식물플랑크톤의 조사 해역. 출처: KIOST
  • 광역 해양감시 및 분석 기술을 활용해 우리나라 해역에 적조 확산 시 독도와 울릉도 수역까지도 영향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밝힌 연구입니다.

 

이 연구가 왜 중요하지?

  • 해당 논문은 해양생물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Harmful Algae>에 게재됐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동해 및 독도 주변의 해양생태계 특성 규명과 함께 독도 영토 주권의 국제적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해양과학기술 연구 성과를 통해 우리 영토 독도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관리, 더 나아가 독도의 영토 주권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동해연구소장 책임연구원 박찬홍 박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