윗니가 아랫니 덮는 치아 구조, '포크 때문에 그렇다'
윗니가 아랫니 덮는 치아 구조, '포크 때문에 그렇다'
  • 이상진
  • 승인 2019.01.09 06:50
  • 조회수 969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양에서 위의 앞니가 아래 앞니를 덮는 '피개교합'이 '정상'이 된 것은 근래의 일이었습니다. 출처:pixabay
서양에서 위의 앞니가 아래 앞니를 덮는 '피개교합'이 '정상'이 된 것은 근래의 일이었습니다. 출처: pixabay

서양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치아 교정은 흔한 일이 됐습니다. 치아 교정은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하게 만드는 미용 상의 목적에 더해, 치아골격의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위의 앞니가 아래쪽 앞니를 살짝 덮는 형태를 '피개교합'이라고 합니다. 위의 앞니가 아래 앞니를 덮지 못하고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절단교합'이라고 하는데요. 

 

현재 '절단교합'은 침팬지 등 타 영장류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인간의 경우에는 '절단교합'을 비정상으로 보고 교정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침팬지 등 대부분의 영장류에서는 '절단교합'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출처:pixabay
침팬지 등 대부분의 영장류에서는 '절단교합'이 흔해요. 출처: pixabay

그런데 서양에서 '피개교합'이 정상적인 상태가 되고, '절단교합'이 교정돼야 할 치아 구조로 여겨지게 된 시점이 비교적 최근이라고 합니다.

 

인류학자들에 따르면 불과 200~250년 전까지만 해도 서양에서 절단교합은 흔한 치아구조였다고 합니다. 타 영장류와 비슷하게 말이죠. 학계는 현재 서양에서 '피개교합'이 '정상상태'가 된 이유를 포크의 사용에서 찾고 있습니다.

 

18세기 포크 대중화, ‘피개교합’을 ‘정상’으로 

 

16세기 이탈리아의 작가인 유스타키오 첼레브리노는 자신의 책에서 식사용 포크를 사용하는 상세한 방법을 기술하는데요. 하지만 17세기까지도 서양인들은 포크를 고상한 척하는 허영의 도구로 치부했다고 합니다. 

 

지난 1633년 영국의 찰스 1세가 포크를 쓰는 것을 예의바른 행동이라고 규정한 이후에야 귀족 사회를 중심으로 포크 사용이 첨차 늘었습니다. 18세기 무렵 포크는 서양의 식탁 위 대중화된 식사 도구가 됐습니다.

 

포크와 식사용 나이프의 등장은 식사예절뿐만 아니라 인간의 치아구조도 바꾸었습니다. 출처:pixabay
포크와 식사용 나이프의 등장은 식사 예절 뿐만 아니라 인간의 치아 구조도 바꾸었습니다. 출처: pixabay

포크의 등장 전까지 서양의 식사법은 앞니와 날카로운 칼만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앞니로 고기를 문 상태에서 칼로 고기를 자르거나, 앞니로만 고기를 끊어 먹었다고 해요. 다소 야만적으로 보이는 식사 예절인데요. 이때 앞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절단교합'이 포크의 역할을 대신했습니다. 

 

이런 식사 방법이 포크가 등장하고 안전상 위해 무딘 식사용 나이프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바뀌었습니다. 포크로 고기를 고정시키고 식사용 나이프로 고기를 끊어 내 잘게 썰어 식사를 하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인류학자들에 따르면 18세기 서양에서 포크의 등장으로 고기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뺏긴 '절단교합' 치아 구조는 윗니가 점점 길게 자라나 아랫니를 덮어 '피개교합'으로 바뀌었습니다.  

 

 



##참고자료##


이은영, <사이언스라디오>, 서울:휴머니스트, 201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