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시간 내 항생제 조합 성능 확인 기술 개발
8시간 내 항생제 조합 성능 확인 기술 개발
  • 강지희
  • 승인 2019.04.03 14:55
  • 조회수 197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항생제 조합 이미지. 출처: pixabay
항생제 조합 이미지. 출처: pixabay

슈퍼박테리아는 여러 항생제에 매우 큰 저항성을 갖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2013년도 미국의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인류가 항생제 이후의 시대를 마주하게 되었다"고 경고했죠. 그래서 의학계에서는 항생제 저항성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서로 다른 항균 매커니즘을 가진 두 가지 이상의 항생제를 섞어 처방하는 '항생제 조합 치료'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항생제 조합 치료는 항생제의 종류와 적정한 농도 범위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항생제들 간의 시너지 효과 검사를 해야 하는데요. 기존의 검사 방식은 샘플 준비 과정이 불편하고 희석 과정이 번거로우며, 결과를 도출하기까지 약 24시간 이상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카이스트의 기계공학과 전성윤 교수 연구팀은 항생제 효과 검사를 8시간 안에 도출해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Lab on a chip>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미세유체 칩을 이용해 두 개의 항생제 간의 시너지 효과 검사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어떻게 연구했는가

 

'Lab on a chip'에서 게재된 미세유체 칩 이미지. 출처: KAIST
'Lab on a chip'에서 게재된 미세유체 칩 이미지. 출처: KAIST

미세유체 칩은 머리카락 정도의 굵기를 가진 좁은 미세채널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연구팀은 박테리아 샘플을 아가로스 젤과 섞어 미세채널에 주입하여 굳히고, 이를 둘러싸는 미세채널들에 각 항생제들이 포함된 시약과 항생제가 포함되지 않은 시약을 주입했습니다. 

 

항생제 분자들은 항생제가 첨가된 채널로부터 항생제가 없는 채널로 확산이 이루어졌습니다. 그 결과, 두 항생제의 농도 조합 121개가 박테리아가 굳혀있는 아가로스 젤에 35분 만에 형성되었습니다. 

 

연구팀의 미세유체 칩과 분석결과. 출처: KAIST
연구팀의 미세유체 칩과 분석결과 예시. 출처: KAIST

연구팀은 이후 6시간 동안 항생제 농도 조합으로 인해 억제되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했습니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항균 매커니즘을 가지는 다섯 종류의 항생제를 두 개씩 조합해 그람음성 병원성 균주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을 대상으로 항생제 조합 효능 검사를 시행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항생제 짝에 따라 각기 다른 항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검사한 항생제 짝의 시너지 관계를 분류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연구팀이 제안하는 미세유체 칩 기반의 검사 방식은 번거로운 희석 과정과 긴 검사 시간으로 인해 불편했던 기존 검사 방식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전성윤 교수 연구팀. 출처: KAIST
전성윤 교수 연구팀. 출처: KAIST

연구의 총 책임자인 전 교수는 "미세유체 칩의 약물 검사 플랫폼으로써의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면서 "개발한 미세유체 칩이 상용화돼 실제 현장에서 항생제 조합 치료를 위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참고자료##

 

Kim, Seunggyu, et al. "On-chip Phenotypic Investigation of Combinatory Antibiotic Effects by Generating Orthogonal Concentration Gradients." Lab on a Chip (201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