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전이 위험 높은 위치 발견
폐암 전이 위험 높은 위치 발견
  • 이상진
  • 승인 2019.05.08 23:45
  • 조회수 296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서울병원이 정병호 호흡기내과 교수 연구팀이 폐 중심부를 규명해 폐암 전이 위험 예측력을 높였다고 밝혔습니다. 폐암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 진단 과정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 여부 확인은 가장 중요한 단계로 꼽히는데요.

 

흉곽 중앙 폐 사이 공간인 종격동에서 림프절 전이가 확진되면 암 병기가 3기 이상으로 껑충 뛰고 수술만으로 치료가 어려워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폐암 전이가 높은 위치를 발견했습니다. 출처:fotolia
국내 연구진이 폐암 전이가 높은 위치를 발견했습니다. 출처: fotolia

수술 전 시행한 CT나 PET-CT 검사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 소견이 뚜렷하지 않은 1~2기 환자도 경우에 따라 종격동 림프절 조직 검사를 하는 이유입니다. 특히 폐암 치료 가이드라인을 보면 종양이 폐 중심부에 위치할 경우 수술 전 종격동경(mediastinoscopy) 검사 또는 초음파내시경-세침흡인술 (EBUS-TBNA) 검사를 하라고 권고하고 있죠. 하지만 문제는 폐 중심부가 입체적인데다 원추형 모양이기 때문에 확실치 않다는 것인데요.

 

대체로 미국에서는 폐 안쪽 3분의 1 지점을 중심부라 부르고 유럽에서는 3분의 2 지점을 폐 중심부라 부릅니다. 또 기준선도 달라 대중이 없었죠.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에서 2014년부터 2015년 사이 치료받은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영상 검사상에서 원격 전이가 발견되지 않고 림프절 전이도 없는 환자 1337명을 대상으로 종양 발생 위치와 종격동 림프절 전이 여부를 분석했습니다.

 

먼저 환자의 CT 검사 영상에서 폐문 또는 몸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3분의 1과 2 지점을 지나는 곳에 동심원 형태의 가상선을 그렸는데요. 다시 정중선에서 같은 위치에 시상면으로 나눈 선을 그었습니다. 이 선들을 각각 폐의 중심부라고 보고, 이 곳과 다른 곳 종양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율를 분석했다고 해요. 그 결과 최종 검사에서 림프절 전이가 확진된 환자는 93명(7%)이었습니다.

 

이들의 암 발병 위치를 토대로 나머지 환자와 통계적으로 비교하자 종격동 림프절 전이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은 몸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내측면 3분의 1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나타났다고 해요.

동심원을 그렸을 때 3분의 1 위치에서 전이의 위험이 높았다. 출처:삼성서울병원
동심원을 그렸을 때 3분의 1 위치에서 전이의 위험이 높았다. 출처: 삼성서울병원

종양이 이 지점보다 내측으로 넘어서면 다른 곳보다 종격동 림프절 전이 위험이 2.13배 더 높았죠. 종양 위치 외 환자들 간 나머지 요소를 통계적으로 보정을 거쳐 나온 결과입니다.

 

정병호 교수는 "폐 중심부에 생긴 암에 대한 정의가 명확해지면서 환자 치료 방향에 대한 결정도 보다 정밀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궁극적으로 환자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계속 연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European Respiratory Journal>에 게재됐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