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피해 막는 '플랑크톤'
기후변화 피해 막는 '플랑크톤'
  • 이웃집과학자
  • 승인 2022.12.24 00:40
  • 조회수 3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물 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 뿐 아니라 지구 생물권 전체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미국 하와이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식물 플랑크톤이 신진대사 기능을 바꾸며 기후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을 밝혔다. 출처 : IBS
식물 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 뿐 아니라 지구 생물권 전체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미국 하와이대와 공동연구를 통해 식물 플랑크톤이 신진대사 기능을 바꾸며 기후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을 밝혔다. 출처 : IBS

기초과학연구원(IBS)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 연구단장 연구팀이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 환경 변화에도, 바다 식물 플랑크톤[1]의 유기탄소 생산량은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을 했습니다. 식물 플랑크톤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바다 생태계의 교란을 막는 ‘방어막’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1] 식물 플랑크톤(Phytoplankton): 바다 표면에 떠다니는 작은 조류로 해양 먹이사슬의 기초를 형성한다. 광합성을 하는 동안 식물 플랑크톤은 물에 녹은 영양염(인삼염, 질산염)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유기물과 산소를 생산한다. 식물 플랑크톤이 만들어낸 유기물은 먹이사슬 상위 단계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고, 식물 플랑크톤이 만든 산소는 우리가 들이쉬는 총 산소량의 약 50%를 차지한다.

 

식물 플랑크톤은 바다에서 가장 중요한 유기체입니다. 햇빛이 닿는 바다 표층에 주로 서식하며 광합성을 통해 바다 생물의 먹이인 유기탄소를 합성하고, 인류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생산합니다. 

 

지구온난화는 해양의 심층부보다 표층부 바닷물을 더 데우는데요. 표층수가 따뜻해지면 밀도가 가벼워지며 심층부와 층이 더 명확히 분리(성층화)됩니다. 식물 플랑크톤은 영양염[2]과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에 이용합니다. 그런데, 해양이 성층화되면 심층부에 풍부한 영양염이 표층부에 덜 도달합니다. 즉, 지구온난화는 식물 플랑크톤의 먹이를 줄입니다.

[2] 영양염: 주요 영양염으로는 바닷물에 녹아 있는 인산염과 질산염이 있는데, 플랑크톤 번식에 필수인 인과 질소를 각각 제공한다. 영양염이 없는 환경에서는 플랑크톤이 번식할 수 없다.

 

이전 연구들은 표층부의 영양염 고갈이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을 감소시켜 해양 생태계를 교란, 기후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IBS와 미국 하와이대 공동연구팀은 표층부 수온 상승에도 불구하고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은 증가한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북태평양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와 슈퍼컴퓨터 기반 기후 시뮬레이션 결과를 종합한 결과였습니다.

 

공동연구진은 선행 연구들이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는데요. 하와이 해양 시계열 관측 (HOT‧Hawai’i Ocean Time-serie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지난 30년간 수집된 식물 플랑크톤 자료에 따르면, 표층 영양염이 매우 고갈된 시기에도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은 일정하게 유지됐습니다. 열악한 조건에서 식물 플랑크톤은 인(P) 대신 황(S)을 광합성에 사용하며 영양염 부족 환경에 적응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이라고 합니다.
 

이번 연구의 공동저자이자 HOT 프로그램 공동설립자인 데이비드 칼 미국 하와이대 교수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신진대사 전략을 바꾸는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인을 필요로 하는 식물 플랑크톤 종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플랑크톤 종 변화까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IBS 연구팀은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 기반 기후 모델 시뮬레이션을 통해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이 향후 전 지구 해양 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했습니다.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시뮬레이션에서는 2100년까지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이 전 지구적으로 8%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행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결과인데요. 하지만,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전 지구 표면 온도가 약 4℃ 상승하는 2100년까지 플랑크톤 생산성은 전 지구적으로 약 5%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시간에 따른 전 지구 해양 순생산량 변화. 바다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가정한 기후 시뮬레이션 결과(빨간색 선, 주황색 선)에서는 기존 전망(파란색 선)과 달리 해양 순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IBS
시간에 따른 전 지구 해양 순생산량 변화. 바다 식물 플랑크톤의 영양 흡수 조절 능력을 가정한 기후 시뮬레이션 결과(빨간색 선, 주황색 선)에서는 기존 전망(파란색 선)과 달리 해양 순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IBS

제1저자인 권은영 IBS 기후물리 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영양염 고갈이 가장 큰 아열대 해역에서는 생산성이 기존 예측 값과 최대 200%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식물 플랑크톤 생산성이 강화되면 바다는 대기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바다 식물 플랑크톤이 기후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 규모의 바다 생태계 변화에서 교란을 막는 완충 작용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데요. 하지만 식물 플랑크톤이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전반적인 생산성은 유지되지만, 플랑크톤 세포를 이루는 원소 함량 혹은 플랑크톤 종 변화가 일어나 해양 먹이사슬 구조가 변할 수 있습니다.

 

공동저자인 악셀 팀머만 단장은 “해양 생물의 미래를 더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식물 플랑크톤이 수온 상승과 해양 산성화를 포함한 여러 복합적인 스트레스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연구결과는 12월 22일(한국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됐습니다.

논문명 : Nutrient uptake plasticity in phytoplankton sustains future ocean net primary productio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충청남도 보령시 큰오랏3길
  • 법인명 : 이웃집과학자 주식회사
  • 제호 : 이웃집과학자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정병진
  • 등록번호 : 보령 바 00002
  • 등록일 : 2016-02-12
  • 발행일 : 2016-02-12
  • 발행인 : 김정환
  • 편집인 : 정병진
  • 이웃집과학자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6-2024 이웃집과학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tact@scientist.town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