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은 뇌졸중, 심장마비 등을 일으키는 현대인의 고질적인 질병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직접 감지하지는 못해도 우리의 몸은 동맥의 혈압을 측정하고, 혈압이 너무 낮으면 높이고 반대로 혈압이 높으면 낮추며 조절하고 있습니다. 혈압 조절이 잘되지 않으면 대개 고혈압으로 이어집니다. 이렇게 혈압을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세포를 혈압수용체라 부르는데 그동안 혈압수용체 세포 내부의 어떤 단백질이 외부의 자극을 감지하는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오우택 박사 연구팀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하는 기계채널 단백질인 '텐토닌3'가 심장의 혈압 또한 정밀하게 조절하는 센서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해당 연구는 <JCI>에 게재됐습니다.
텐토닌3 유전자에 주목하다
이온채널은 생체막에 통로를 형성해 생체막 내외의 이온을 통과시키는 단백질로써 이온의 이동에 따라 생체에 전기신호를 발생시킵니다. 이온채널에 의한 세포의 전기적 흥분은 심장 박동, 호르몬 분비, 감각 및 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이온채널이 고장나면 심각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온채널 중 하나인 기계채널은 세포에 물리적(기계적) 자극이 가해질 때 열리는 이온채널로, 기계적 자극을 감지하는 생체센서입니다. 따라서 기계채널은 촉각, 진동, 압각 등의 외부적인 자극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뿐 아니라 근육의 수축정도, 뼈의 움직임, 허파 팽창, 혈압의 높낮음과 같은 내부의 자극을 감지하는 데에도 필요합니다.
- 기계채널(Mechanosensitive Channel)
세포막에 존재하여 세포의 안과 밖으로 이온을 통과 시키는 막 단백질
KIST 연구진은 혈압을 조절하는 센서를 파악하기 위해 심장 근방의 신경다발을 관찰하던 중 대동맥 혈압수용체 신경 말단에서 기계채널 텐토닌3의 유전자를 다량 발견했습니다. 특히, 텐토닌3을 발현하는 신경은 대동맥을 완전히 싸고 있었습니다.
이에 KIST 오우택 박사는 텐토닌3 유전자를 제거한 쥐를 통해 실험한 결과, 혈압 감지 능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텐토닌3 유전자를 다시 발현시켰더니 혈압이 원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KIST 뇌과학연구소 오우택 박사는 "심장의 혈류를 감지하여 혈압을 조절하는 텐토닌3 이온채널의 역할을 조명했고 동물의 혈압 감지 시스템의 생리학적인 이해의 범위를 한층 넓혔다 할 수 있다"라며 "텐토닌3 이온채널 유전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밝힌 본 연구를 통하여 심장 혈압감지의 오류로 인한 고혈압 치료에 초석이 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참고자료##